오늘은 그동안 궁금했던 프로젝트 파일의 폴더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대충 알게 되었다.
나처럼 Spring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라면
src/main/java와
src/main/resources는 왜 따로 있고
그 밑에 src는 왜 또 있는거지??라는 생각을 했을 거라고 믿는다.
오늘 그에 대한 답을 하려고 한다.
가장 먼저 할 말은 그냥 보기 쉽게 하려고 이렇게 만들어 졌다.
그 중에서 main/java에는 무슨 파일이 들어 가냐면 java 소스코드 파일이 들어간다.
기본적으로 tes라는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했으니
TesApplication.java라는 Main을 가진 자바 클래스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된다.
main/resources 폴더에는 무엇이 들어가냐면
front-end와 관련된 코드가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.
이건 자동 생성이 되지 않는다. 내가 스스로 html 또는 css 또는 javascript 파일을 추가하여 저장하면 된다.
자세한 사항은 다음에
그리고 application.properties는
스프링부트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 자동으로 로드하는 파일이다.
key - value 형식으로 값을 정의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.
이것도 자세한 사항은 다음에 포스팅하도록 할 것이다.
점점 다른 여러가지 다른 공부를 하다 보니 포스팅의 내용이 빈약해지고 있다.
다음부터는 시간 분배를 잘해서 포스팅에 노력해보도록 하자..!
'[Spring Boot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REST API -- 미완성 (0) | 2021.10.14 |
---|---|
[Spring Boot] Autowired와 @Resource (0) | 2021.10.14 |
[Spring boot] @Required Annotation 필수 프로퍼티 검사 (0) | 2021.10.14 |
[Spring Boot] Spring boot pom.xml 및 MVC Controller 설정 (0) | 2021.10.14 |
[Spring Boot] 외부 설정 프로퍼티 (0) | 2021.10.14 |